PC 조립 과정을 기록하는 중입니다. 노트북을 버리고 타워 PC를 다시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게이밍 노트북은 수리비가 너무 비쌉니다. PC도 마찬가지지만;;;
CPU는 Intel?
인텔은 울트라 시리즈 2가 있고, AMD는 라이젠 6세대가 있습니다. 인텔은 13, 14세대에서 심각한 이슈와 대처로 신뢰도가 떨어졌으며 울트라 역시 그러지 말라는 법이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AMD를 오랜만에 사용해보고 싶었습니다.
CPU: AMD Ryzen 6th 9900X vs 9800X3D
9800X3D 모델은 AMD 라이젠7-6세대이며, 9900X 모델은 AMD 라이젠9-6세대입니다.
두 모델의 차이는 L3 캐시이며, 그 외에는 9900X 성능이 매우 높습니다. 그런데도 3D 게임에서 9800X3D 모델이 FPS가 높고 CPU, RAM 점유율이 낮은 이유는 높은 캐시 용량 때문입니다.
현시점에서 9800X3D 모델은 출시가($479별도)를 훨씬 넘는 80만 후반~90만원대에 팔리고 있습니다. 🤬🐉🪰🤬
AMD 역시 부팅이 안 되는 증상이 있었지만 2024년말에 메인보드 바이오스 펌웨어로 해결되었습니다.
MainBoard: ASUS vs GIGABYTE
486시절을 제외하고, 메인보드는 ASUS만 사용했기 때문에 ASUS에서 X890E 모델을 검색해봤지만 80~100만원대의 엽기적인 가격의 제품만 나타났습니다. S/PDIF 출력은 무조건 있어야 했습니다. 5.1채널 돌비와 DTS 때문.
어쩔 수 없이 GIGABYTE로 골라봅니다. 망할 노트북이 GIGABYTE AORUS여서 고르고 싶지 않았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MSI도 비싸요;;
두 가지 모델이 검색됩니다. 흰둥이와 검둥이
https://prod.danawa.com/info/?pcode=67847609&cate=1131249
https://prod.danawa.com/info/?pcode=73560548&cate=1131249
두 모델은 현재 Rev. 1.1 까지 있습니다.
SATA 포트 옆에 HDMI 포트가 있는데, FHD 30Hz 출력입니다.🤣 CPU, VGA 없이 모니터링이 되는 것인지...
RAM: G.SKILL
10년 넘게 사용한 브랜드이고 산업용 PC를 제조할 때에도 최우선으로 사용했던 G.SKILL입니다. 그 이유는 삼성전자 램의 잦은 부팅 불량 때문에 고객사도🤬🤬, 나도🤬🤬. G.SKILL을 사용하면서 부팅 오류가 발생한 적이 없었습니다.
인텔은 기본 동작 클록이 6400MHz지만, AMD는 5600MHz입니다. 대부분 XMP만 지원이고, EXPO가 되는 모델은 6000MHz 모델이 쓸만했습니다. 오버클록하지 뭐~
PowerSupplyUnit: SuperFlower
10년 넘게 사용했던 브랜드이고, 산업용 PC를 제조할때에도 최우선으로 사용했던 수퍼플라워입니다. PC를 100대 넘게 조립하면서 타사 파워는 가끔 문제가 생겼지만 SuperFlower 파워가 고장난 적은 없었습니다.
SuperFlower는 A/S 기간을 100W당 1년으로 계산합니다.
현재 사용중인 모델은 ATX 2.0 1000W입니다. A/S 보증 기간인 10년을 넘겼습니다!😮 아직 멀쩡한 파워를 두고 새 PSU를 구입한 이유는 ATX 3.1 규격 때문입니다. 커넥터는 9핀 방식이라 10년 묵은 구형과 호환되지만 ATX 3.1 기능을 써보고 싶어서...
https://prod.danawa.com/info/?pcode=49091162&cate=1131496
1200W로 질렀습니다. 낭비인가? A/S 보증 기간은 12년입니다.
Case: 빅타워
GR One_Full Tower_Corporation IN WIN Retail Website
2013년에 구입한 대만산 IN WIN GR ONE USB 3.0 케이스입니다. 수냉 쿨러 설치한다고 무지막지한 모델로 골랐는데, 여전히 사용 가능해 보여서 케이스는 그대로 쓰기로 했습니다. 안 맞으면 새로 사면 되고~
상단에 140mm 팬 장착이 가능하여 120mm 3열 라디에이터는 우습게 설치될거라 믿습니다. 그때 당시 보드 전원 커넥터 간섭 문제가 여러 케이스에서 발생했지만 GR One 케이스는 수직 공간이 충분한 모델이었습니다.
슬라이딩 덮개가 있기 때문에 케이스 위에 물건을 올려놔도 막힘이 없습니다.
3.5 HDD, 2.5 SSD를 아직 사용하기 때문에 3.5 슬롯이 여러개 필요합니다. 덮개 위의 외부 SATA 커넥터는 임시로 연결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CPU 쿨러는 195mm 장착이 가능한 빅타워 케이스입니다만 수냉만 사용하니 무시합니다.
공랭 소음에 질려서 수냉을 선택했는데, 수냉 소음도 만만치 않네요.🤬
파워는 하단후면에 설치됩니다.
그래픽 카드는 365mm까지 설치 되지만 파워 위에 층 분리 칸막이도 없고, 5.25 베이 맡에는 240mm만 가능해서 그래픽카드의 3열 라디에이터를 설치할 곳이...없습니다.😱
VGA: RTX5080
딥시크 같은 오프라인 AI 모델을 구동하려면 RTX50 시리즈가 최적입니다. 오래 쓸건데 곧 나올 최신 세대가 좋겠지요?
그때까지 GTX760으로 버텨봅니다.🤣🤣🤣🤣🤣 AMD 내장 그래픽이 더 좋으려나?🤔
가격 비교는 다나와, 구입은 네이버
다나와에는 수 많은 업체들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포인트 적립이 없습니다. 네이버는 플러스 멤버쉽으로 포인트 적립이 됩니다! 네이버통장 충전 포인트+네이버페이 결제 포인트+구매확정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