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기
외장 그래픽과 내장 그래픽 디스플레이 포트에 모니터를 각각 연결했을 때, 그래픽 성능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며 디스플레이 신호를 공유하게 됩니다. 내장 디스플레이 포트에 연결된 모니터는 꼭 내장 그래픽 성능으로 동작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NVIDIA RTX 그래픽카드에 모니터 A를 연결하고, AMD 내장 그래픽에 모니터 B를 연결했다면, B 모니터는 기본적으로 NVIDIA RTX 칩셋으로 디스플레이가 표현됩니다. 즉, B 모니터에서 RTX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자동으로 성능 우선으로 설정되며, 윈도우 그래픽 설정에서 사용할 그래픽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가바이트 X870E AORUS PRO ICE
기가바이트 X870E 어로스 프로는 디스플레이 출력이 HDMI 1개뿐입니다. (X970이 나오려나? 사양이 별로...)
모니터는 2개인데, 디스플레이 포트를 추가하려면 안 쓰는 그래픽 카드라도 꽂아야 합니다.
GTX 760
이제는 유물 취급을 당해도 되는 GTX760 카드를 꽂았습니다.
HDMI, DP 포트가 있어서 최대 두 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3개부터는 내장 그래픽이나 추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주 모니터는 DP 케이블로 그래픽카드에, 보조 모니터는 HDMI 케이블로 내장 그래픽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RTX 4060
설치 후 테스트 예정입니다.
4개의 디스플레이 포트를 제공하여 모니터 4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내장 그래픽의 성능 문제와 시스템 메모리 절약이 필요하다면 가성비 좋은 RTX 4060을 추천합니다.(2025-02 기준)
가격은 40만 원대입니다.
실험
그래픽카드 장치 끄기
장치 관리자 - 디스플레이 어댑터에서 그래픽 카드를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합니다.
이렇게 했을 때, 그래픽 카드에 연결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가 될까요? 안 될까요?
정답은....정상 동작 한다!
앱 별로 그래픽 장치 설정하기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GTX76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절전 (AMD 그래픽) 항목만 있었지만,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고성능 (AMD 그래픽) 항목이 나타납니다. 성능을 상대적으로 표시해 주므로 선택하기가 쉽습니다.
그래픽 자원을 많이 까먹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를 실행해 봅니다.
GTX760에서는 20FPS 이상 나오던 것이, AMD 그래픽에서는 2FPS 이하입니다. (AMD 9900X 그래픽 성능이 뭐?)
(그래픽 옵션은 `낮음`으로 변경 불가 상태입니다)
내장 그래픽 끄기
HDMI, DP 디스플레이 포트가 여러개 있는 그래픽카드를 설치했다면 내장 그래픽 디스플레이 포트를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내장 그래픽은 비디오 메모리용으로 2GB를 시스템 메모리와 공유합니다. 시스템 메모리 확보를 위해, 필요 없는 내장 그래픽을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케이블을 모두 외장 그래픽 카드에 연결합니다.
시스템 재시작을 하면서 BIOS로 진입 후, iGPU 항목을 찾아서 Disabled로 변경하면 됩니다.